애플에서 출시한 에어팟 모델군들은 애플 기기뿐 아니라 일반 기기에 블루투스로 연결해 사용해도 꽤 괜찮은 성능을 발휘하는데요. 이미 애플 기기에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반 소스 기기들에 연결(페어링)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플 에어팟을 일반 소스 기기에?"
2016년도에 처음 출시된 에어팟(airpods)은 지금은 당연시되고 있는 블루투스 코드리스 이어폰(Bluetooth cordless earphone)의 대중화를 이끌어 낸 애플(apple)의 명기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유선 이어폰만을 고집하던 유저들도 그 편리함과 부드러운 연결성에 많이들 에어팟으로 넘어왔죠. 그 이후에 오픈형 타입의 에어팟은 3세대까지 출시가 되었고, 커널형에 노이즈 캔슬링을 더한 에어팟 프로(airpods pro), 헤드폰 형태의 에어팟 맥스(airpods max)까지... 음향기기 분야에서도 발군의 실력을 보여주고 있는 애플입니다.
에어팟의 가장 큰 장점은 애플 기기와의 부드러운 연결성이라 할 수 있는데요. 한 번 연결해 놓으면 아이폰-아이패드-맥북-애플 tv-애플 워치 등 각 기기간 이동이 수월합니다. 그렇지만 애플 기기가 아닌 일반 스마트폰이나 TV 등 소스 기기와도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특유의 부드러운 연결성에는 못 미치고, 공간 음향과 시리같은 일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지만요. 그래도 일반 블투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동일한 퍼포먼스를 내어주어서 저는 블루레이 영화 감상할 때는 에어팟 맥스를, 유튜브로 운동 영상을 재생해 놓고 홈트 할 때는 에어팟 프로와 연결하여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애플 에어팟 일반 소스 연결 방법"
그렇다면, 에어팟을 일반 기기에 연결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히 이야기하면, 1) 연결하려는 소스기기의 설정으로 들어가서, 2) 블루투스 기기 검색, 3) 에어팟 페어링 버튼, 4) 연결 후 감상 순인데요. 간단하죠? 하지만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어서 이를 포함해서 좀 더 상세히 이야기해보면,
- 연결 설정 : 소스 기기들의 블루투스 연결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혹시 리스트 상에 연결하려는 에어팟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는데도 연결되지 않는다면 과감히 기기를 제거해줍니다.
- 블루투스 기기 검색 : 기기 검색을 선택하면 소스 기기에서 연결할 에어팟을 찾게 됩니다.
- 에어팟 페어링 버튼 : 여기가 중요합니다. 페어링 버튼의 경우 에어팟(일반, 프로)은 충전 케이스 후면에 설정 버튼이 위치해 있고, 에어팟 프로는 우측 헤드폰 상단부에 소음 제어 버튼으로 페어링 할 수 있습니다. 에어팟(일반, 프로)은 충전 케이스의 뚜껑을 열고, 설정 버튼을 꾹 약 10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충전케이스의 램프가 흰색으로 깜빡거리면서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에어팟 맥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소음 제어 버튼을 꾹 누르고 있으면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요. 중요한 점! 일반형, 프로, 맥스 모두 페어링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반드시 귀에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눌러야 합니다. 특히 에어팟 맥스의 경우에는 착용한 상태에서 소음 제어 버튼을 누르면 계속 노이즈 캔슬링 모드를 들락거리기 때문에 반드시 벗고 난 상태에서 페어링 해야 합니다.
- 연결 후 감상 : 에어팟의 이름이 뜨면 선택하여 연결될 경우, 특유의 연결음이 들리고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정말 간단한 것 같아도 은근히 잘 안되어서 몇 번씩 연결/해제를 반복했던 것 같네요. 미착용 상태에서 연결해야 한다는 점 유념하시고, 일반 기기에서도 에어팟 연결하여 잘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Apple 2021 에어팟 3세대 블루투스 이어폰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